요즘 마트나 편의점에 가면 유리병에 담긴 제품들을 많이 볼 수 있어요.
특히 수입 음료, 수제 잼, 소스 같은 것들은
디자인도 예쁘고 튼튼해서 먹고 나서도 뭔가에 쓰고 싶은 욕구가 들죠.
그런데 다 먹고 난 유리병, 여러분은 어떻게 처리하고 계신가요?
‘재활용’하면 되겠지 싶지만, 오늘의 기후퀴즈에서는 이렇게 묻고 있어요.
“유리병은 재사용과 재활용이 모두 가능하며, 재사용될 경우 환경적 이점이 더 크다.”
과연 이 문장은 맞을까요?
오늘은 유리병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가장 환경에 이로운 방법인지,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
🧴 2025년 5월 18일 기후퀴즈 : 유리병은 재사용과 재활용이 모두 가능하며, 재사용될 경우 환경적 이점이 더 크다?
유리병은 재활용도 가능하지만, 재사용될 경우 환경에 훨씬 이롭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물론 깨끗하게 세척하고, 다시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게 전제지만, 에너지 소모 면에서는 재사용이 월등히 유리합니다. 유리를 재활용하려면 녹이는 과정에서 엄청난 고열이 필요하거든요. 반면, 세척해서 다시 쓰는 건 에너지 소비가 거의 없죠.
🧴 실생활에서 유리병을 재사용하는 방법
- 마신 음료의 유리병을 깨끗이 씻어 조미료통, 꽃병, 물병 등으로 재활용해 보세요.
- 지역에 따라 공병 보증금 제도를 운영하는 곳도 있어요. 마트나 편의점에서 반납하면 소정의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- 유리병을 수거하는 공병 회수함을 적극 활용해 주세요. 일반 쓰레기에 섞이거나 깨지면 재사용도 재활용도 불가능해질 수 있어요.
🧴 재활용보다 재사용이 더 환경에 좋은 이유
유리병을 재활용한다고 해서 나쁜 건 아니지만, 그 과정이 꽤나 에너지 집약적입니다.
재활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해요:
- 병을 수거해 분리
- 라벨 제거
- 고열로 녹여서 다시 성형
이 과정에서 전기와 연료가 많이 들고, 그만큼 탄소도 배출됩니다.
반면, 재사용은?
- 세척만 하면 바로 다시 사용 가능
- 생산 에너지 ‘0’
- 쓰레기 배출도 ‘0’
환경을 생각한다면 재사용이 당연히 1등입니다.
특히 회수 → 세척 → 재출고 시스템이 갖춰진 제품일수록 환경적인 순환 구조가 잘 만들어집니다.
🧴 실생활 속 유리병 활용 아이디어 5가지
단순히 ‘병’으로만 생각하면 쓰레기지만, 시선만 바꾸면 우리 집 DIY 소품 재료로 변신해요.
- 꽃병으로 변신
입구가 좁은 유리병은 한두 송이 꽃 꽂기에 딱!
생화를 사서 테이블에 하나만 놔도 분위기가 달라져요.
- 조미료 통으로 활용
라벨을 제거하고 깔끔하게 닦은 후, 소금·설탕·카레가루 같은 양념을 담으면
보기에도 깔끔하고 찾기도 쉬워요.
- LED 조명 만들기
작은 전구나 건전지 조명을 병 안에 넣으면, 분위기 있는 무드등 완성!
캠핑이나 홈카페 분위기 낼 때 유용하죠.
- 수제청·피클 담기
병 입구에 고무패킹 뚜껑이 있는 유리병은
딸기청, 레몬청, 오이피클 등 저장 음식 만들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.
- 동전·클립 보관함
책상 위에 늘 굴러다니는 자잘한 물건들을 담아두면
깔끔함도 챙기고, 버려지는 병도 줄일 수 있어요.
🧴 5월18일 기후퀴즈 정답은 ?
오늘 퀴즈의 정답은 바로 '그렇다’입니다.
매일 무심코 버리는 유리병, 사실은 지구를 위한 자원이 될 수 있는 귀한 존재입니다.
재활용도 중요하지만, 그보다 먼저 ‘한 번 더 쓰기’, 생각해보면 어떨까요?
작은 실천 하나가 탄소를 줄이고, 쓰레기를 줄이고, 지구의 시간을 벌어주는 일이 될 수 있어요.
오늘은 집 안에 굴러다니는 유리병 하나부터 다시 바라보는 하루가 되면 좋겠습니다. :)
'🌿슬기로운 친환경생활 > ❓기후퀴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]5월20일 기후퀴즈 정답 (2) | 2025.05.20 |
---|---|
[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]5월19일 기후퀴즈 정답 (0) | 2025.05.19 |
[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]5월17일 기후퀴즈 정답 (0) | 2025.05.17 |
[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]5월16일 기후퀴즈 정답 (0) | 2025.05.16 |
[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]5월 15일 기후퀴즈 정답 (1) | 2025.05.15 |